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21개 협회에서 49개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에서 광저우 헝다가 알아흘리 (두바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최우수 선수와 득점왕은 히카르두 굴라르가 수상했으며, 광저우 헝다가 페어플레이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챔피언스리그 시즌 - 2002-03년 AFC 챔피언스리그
2002-03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알 아인 FC가 BEC 테로 사사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AFC 챔피언스리그 시즌 -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
2005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AFC 소속 국가 상위 리그 우승팀과 컵 대회 우승팀들이 참가하여 알이티하드 FC가 알아인 FC를 꺾고 우승했으며, 알이티하드는 전년도 우승팀 자격으로 8강에 자동 진출하여 2년 연속 우승을 기록했다. - 2015년 축구 - 2015년 AFC 아시안컵
2015년 AFC 아시안컵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된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의 국제 축구 대회로,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오스트레일리아가 우승,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마시모 루옹고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 2015년 축구 - 2015년 국제 축구 연맹 부패 사건
2015년 국제축구연맹 부패 사건은 미국 법무부의 FIFA 고위 간부 기소를 시작으로 월드컵 유치 및 방송권 관련 뇌물, 돈세탁 등의 조직적 범죄가 드러나 제프 블라터 회장 사퇴 및 FIFA 개혁을 촉구하고 국제적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AFC 챔피언스리그 |
연도 | 2015년 |
개최 기간 | 2015년 2월 4일 – 2015년 11월 21일 |
참가 팀 수 | 49 |
참가 협회 수 | 21 |
대회 결과 | |
우승 팀 |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
우승 횟수 | 2회 |
준우승 팀 | 알아흘리 (두바이) |
경기 수 | 143 |
총 득점 | 392 |
총 관중 수 | 2,288,863 |
개인 수상 | |
득점왕 | 히카르두 골라르트 (8골) |
최우수 선수 | 히카르두 골라르트 |
대회 통계 | |
경기당 득점 | 2.74 |
경기당 관중 수 | 16,006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14년 AFC 챔피언스리그 |
다음 대회 | 2016년 AFC 챔피언스리그 |
2. 참가 팀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에는 21개 협회에서 49개 팀이 참가했다.[8]
팀 | 출전 자격 | 출전 횟수 | 마지막 출전 |
---|---|---|---|
조별 리그 |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 클래식 2014 우승 | 9회 | 2014 |
성남 FC | FA컵 2014 우승 | 6회 | 201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K리그 클래식 2014 준우승 | 6회 | 2013 |
감바 오사카 | J리그 디비전 1 2014 우승 천황배 2014 우승 | 7회 | 2012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J리그 디비전 1 2014 준우승 | 4회 | 2013 |
가시마 앤틀러스 | J리그 디비전 1 2014 3위 | 6회 | 2011 |
브리즈번 로어 | A리그 2013-14 정규리그 우승 A리그 2013-14 그랜드 파이널 우승 | 3회 | 2013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A리그 2013-14 정규리그 준우승 | 2회 | 2014 |
광저우 헝다 | 중국 슈퍼리그 2014 우승 | 4회 | 2014 |
산둥 루넝 | 중국 FA컵 2014 우승 | 7회 | 2014 |
부리람 유나이티드 | 타이 프리미어리그 2014 우승 | 5회 | 2014 |
빈즈엉 | V-리그 2014 우승 | 2회 | 2008 |
알나스르 |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3-14 우승 | 2회 | 2011 |
알샤바브 | 사우디 챔피언스컵 2014 우승 | 9회 | 2014 |
알힐랄 |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3-14 준우승 | 11회 | 2014 |
풀라드 | 페르시안 걸프 컵 2013-14 우승 | 3회 | 2014 |
트락토르 사지 | 하즈피 컵 2013-14 우승 | 3회 | 2014 |
페르세폴리스 | 페르시안 걸프 컵 2013-14 준우승 | 5회 | 2012 |
파흐타코르 |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우승 | 12회 | 2013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컵 2014 우승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준우승 | 3회 | 2014 |
나사프 카르시 |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3위 | 3회 | 2014 |
알아흘리 | UAE 1부 리그 2013-14 우승 | 6회 | 2014 |
알아인 | UAE 프레지던트컵 2013-14 우승 | 10회 | 2014 |
레크위야 | 카타르 스타스 리그 2013-14 우승 | 4회 | 2014 |
플레이오프 3라운드 | |||
FC 서울 | K리그 클래식 2014 3위 | 5회 | 2014 |
가시와 레이솔* | J리그 디비전 1 2014 4위 | 3회 | 2013 |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 A리그 2013-14 정규리그 3위 | 5회 | 2014 |
베이징 궈안 | 중국 슈퍼리그 2014 준우승 | 7회 | 2014 |
알아흘리 |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3-14 3위 | 7회 | 2013 |
나프트 테헤란 | 페르시안 걸프 컵 2013-14 3위 | 1회 | 첫 출전 |
부뇨드코르* |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4위 | 8회 | 2014 |
알와흐다 | UAE 1부 리그 2013-14 준우승 | 7회 | 2011 |
알자지라 | UAE 1부 리그 2013-14 3위 | 7회 | 2014 |
플레이오프 2라운드 | |||
광저우 푸리 | 중국 슈퍼리그 2014 3위 | 1회 | 첫 출전 |
방콕 글라스 | 태국 FA컵 2014 우승 | 4회 | 2008 |
촌부리 | 타이 프리미어리그 2014 준우승 | 4회 | 2014 |
하노이 T&T** | V-리그 2014 준우승 | 1회 | 첫 출전 |
페르십 반둥 |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2014 우승 | 1회 | 첫 출전 |
킷치 | 홍콩 1부 리그 2013-14 우승 | 1회 | 첫 출전 |
알사드 | 카타르 아미르 컵 2014 우승 | 10회 | 2014 |
알자이시 | 카타르 스타스 리그 2013-14 준우승 | 3회 | 2014 |
알카디시야 | 쿠웨이트 프리미어리그 2012-13 우승 AFC컵 2014 결승 진출 팀 | 5회 | 2014 |
알웨흐다트 | 요르단 리그 2013-14 우승 | 2회 | 2002-03 |
알나흐다 클럽 | 오만 리그 2013-14 우승 | 1회 | 첫 출전 |
리파 클럽 | 바레인 프리미어리그 2013-14 우승 | 2회 | 2004 |
플레이오프 1라운드 | |||
야다나본 | 미얀마 내셔널리그 2013-14 우승 | 1회 | 첫 출전 |
조호르 다룰 탁짐 |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2014 우승 | 1회 | 첫 출전 |
벵갈루루 | I-리그 2013-14 우승 | 1회 | 첫 출전 |
워리어스 | S-리그 2014 우승 | 3회 | 2010 |
- * 리그 상위팀들이 컵대회를 우승함에 따라 차순위 팀들이 진출하게 된다.
- **베트남 컵 2014에서 우승한 하이퐁 FC가 클럽 라이센싱 기준을 통과하지 못해 리그 준우승팀이 참가하게 되었다.[9]
2. 1. 출전권 배정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의 출전권은 AFC 클럽 랭킹에 따라 각 협회에 배정되었다.[4][6][7] 상위 랭킹 협회는 더 많은 출전권을 획득하며, 출전권은 조별 리그 직행 티켓과 플레이오프 참가 티켓으로 나뉜다.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자격은 AFC 랭킹 상위 24개 회원 협회에게 주어졌다.[4] 동부 및 서부 지역 모두 상위 12개 협회가 AFC 챔피언스리그 기준을 충족하는 한 참가 자격이 있었다.동부 및 서부 지역 모두 조별 리그에는 12장의 직행 티켓이 주어졌고, 나머지 4장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되었다. 각 지역 상위 6개 협회는 조별 리그 직행 티켓을, 나머지 협회는 플레이오프 참가권을 획득했다. 특히, 1위와 2위 협회는 3장의 조별 리그 직행 티켓과 1장의 플레이오프 티켓을, 3위와 4위 협회는 2장의 조별 리그 직행 티켓과 2장의 플레이오프 티켓을 얻었다.[4] 5위 협회는 1장의 조별 리그 직행 티켓과 2장의 플레이오프 티켓을, 6위 협회는 1장의 조별 리그 직행 티켓과 1장의 플레이오프 티켓을 받았다. 7위부터 12위 협회는 플레이오프 참가권만 1장씩 얻었다.
대한민국은 동아시아 1위로, 3장의 조별 리그 직행 티켓과 1장의 플레이오프 티켓을 획득했다.[4][6]
각 협회별 최대 출전권 수는 상위 리그 클럽 전체 수의 3분의 1로 제한되었다.[4] 예를 들어, 호주는 A리그에 호주 기반 클럽이 9개뿐이어서 최대 3장의 출전권만 획득할 수 있었다. 이라크, 레바논, 시리아는 출전권을 배정받았지만, 클럽 라이선싱 기준을 통과한 클럽이 없어 출전권이 박탈되었다.[36]
2. 2. 참가 팀 목록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에는 21개 협회에서 49개 팀이 참가했다.[8]팀 | 출전 자격 | 출전 횟수 | 마지막 출전 |
---|---|---|---|
조별 리그 | |||
알나스르 |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3-14 우승 | 2회 | 2011 |
알샤바브 | 사우디 챔피언스컵 2014 우승 | 9회 | 2014 |
알힐랄 |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3-14 준우승 | 11회 | 2014 |
풀라드 | 페르시안 걸프 컵 2013-14 우승 | 3회 | 2014 |
트락토르 사지 | 하즈피 컵 2013-14 우승 | 3회 | 2014 |
페르세폴리스 | 페르시안 걸프 컵 2013-14 준우승 | 5회 | 2012 |
파흐타코르 |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우승 | 12회 | 2013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우즈베키스탄 컵 2014 우승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준우승 | 3회 | 2014 |
나사프 카르시 |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3위 | 3회 | 2014 |
알아흘리 | UAE 1부 리그 2013-14 우승 | 6회 | 2014 |
알아인 | UAE 프레지던트컵 2013-14 우승 | 10회 | 2014 |
레크위야 | 카타르 스타스 리그 2013-14 우승 | 4회 | 2014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 클래식 2014 우승 | 9회 | 2014 |
성남 FC | FA컵 2014 우승 | 6회 | 201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K리그 클래식 2014 준우승 | 6회 | 2013 |
감바 오사카 | J리그 디비전 1 2014 우승 천황배 2014 우승 | 7회 | 2012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J리그 디비전 1 2014 준우승 | 4회 | 2013 |
가시마 앤틀러스 | J리그 디비전 1 2014 3위 | 6회 | 2011 |
브리즈번 로어 | A리그 2013-14 정규리그 우승 A리그 2013-14 그랜드 파이널 우승 | 3회 | 2013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A리그 2013-14 정규리그 준우승 | 2회 | 2014 |
광저우 헝다 | 중국 슈퍼리그 2014 우승 | 4회 | 2014 |
산둥 루넝 | 중국 FA컵 2014 우승 | 7회 | 2014 |
부리람 유나이티드 | 타이 프리미어리그 2014 우승 | 5회 | 2014 |
빈즈엉 | V-리그 2014 우승 | 2회 | 2008 |
플레이오프 3라운드 | |||
알아흘리 | 사우디 프리미어리그 2013-14 3위 | 7회 | 2013 |
나프트 테헤란 | 페르시안 걸프 컵 2013-14 3위 | 1회 | 첫 출전 |
부뇨드코르* | 우즈베키스탄 리그 2014 4위 | 8회 | 2014 |
알와흐다 | UAE 1부 리그 2013-14 준우승 | 7회 | 2011 |
알자지라 | UAE 1부 리그 2013-14 3위 | 7회 | 2014 |
FC 서울 | K리그 클래식 2014 3위 | 5회 | 2014 |
가시와 레이솔* | J리그 디비전 1 2014 4위 | 3회 | 2013 |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 A리그 2013-14 정규리그 3위 | 5회 | 2014 |
베이징 궈안 | 중국 슈퍼리그 2014 준우승 | 7회 | 2014 |
플레이오프 2라운드 | |||
알사드 | 카타르 아미르 컵 2014 우승 | 10회 | 2014 |
알자이시 | 카타르 스타스 리그 2013-14 준우승 | 3회 | 2014 |
알카디시야 | 쿠웨이트 프리미어리그 2012-13 우승 AFC컵 2014 결승 진출 팀 | 5회 | 2014 |
알웨흐다트 | 요르단 리그 2013-14 우승 | 2회 | 2002-03 |
알나흐다 클럽 | 오만 리그 2013-14 우승 | 1회 | 첫 출전 |
리파 클럽 | 바레인 프리미어리그 2013-14 우승 | 2회 | 2004 |
광저우 푸리 | 중국 슈퍼리그 2014 3위 | 1회 | 첫 출전 |
방콕 글라스 | 태국 FA컵 2014 우승 | 4회 | 2008 |
촌부리 | 타이 프리미어리그 2014 준우승 | 4회 | 2014 |
하노이 T&T** | V-리그 2014 준우승 | 1회 | 첫 출전 |
페르십 반둥 |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2014 우승 | 1회 | 첫 출전 |
킷치 | 홍콩 1부 리그 2013-14 우승 | 1회 | 첫 출전 |
플레이오프 1라운드 | |||
야다나본 | 미얀마 내셔널리그 2013-14 우승 | 1회 | 첫 출전 |
조호르 다룰 탁짐 |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2014 우승 | 1회 | 첫 출전 |
벵갈루루 | I-리그 2013-14 우승 | 1회 | 첫 출전 |
워리어스 | S-리그 2014 우승 | 3회 | 2010 |
- * 리그 상위팀들이 컵대회를 우승함에 따라 차순위 팀들이 진출하게 된다.
- **베트남 컵 2014에서 우승한 하이퐁 FC가 클럽 라이센싱 기준을 통과하지 못해 리그 준우승팀이 참가하게 되었다.[9]
3. 경기 일정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대회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37] 모든 추첨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단계 | 라운드 | 추첨일 | 1차전 | 2차전 |
---|---|---|---|---|
예선 | 예선 1라운드 | 추첨 없음 | 2015년 2월 4일 | |
예선 2라운드 | 2015년 2월 10일 | |||
플레이오프 | 2015년 2월 17일 | |||
조별 리그 | 1차전 | 2014년 12월 11일 | 2015년 2월 24일 ~ 2월 25일 | |
2차전 | 2015년 3월 3일 ~ 3월 4일 | |||
3차전 | 2015년 3월 17일 ~ 3월 18일 | |||
4차전 | 2015년 4월 7일 ~ 4월 8일 | |||
5차전 | 2015년 4월 21일 ~ 4월 22일 | |||
6차전 | 2015년 5월 5일 ~ 5월 6일 | |||
결선 토너먼트 | 16강전 | 2015년 5월 19일 ~ 5월 20일 | 2015년 5월 26일 ~ 5월 27일 | |
8강전 | 2015년 6월 18일 | 2015년 8월 25일 ~ 8월 26일 | 2015년 9월 15일 ~ 9월 16일 | |
준결승전 | 2015년 9월 29일 ~ 9월 30일 | 2015년 10월 20일 ~ 10월 21일 | ||
결승전 | 2015년 11월 7일 | 2015년 11월 21일 |
4. 예선 플레이오프
예선 플레이오프는 3라운드(1차 예선, 2차 예선, 플레이오프 라운드)로 구성되며, 각 팀의 협회 랭킹을 기준으로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대진표를 결정했다.[13] 각 경기는 단판 승부로 진행되며, 상위 랭킹 협회 소속 팀이 홈 경기를 치렀다. 필요할 경우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각 경기의 승자는 자동으로 진출하는 24개 팀과 함께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각 라운드에서 탈락한 팀 중 플레이오프 출전권만 있는 협회 소속 팀은 2015년 AFC컵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1]
1차 예선은 2015년 2월 4일에 진행되었다.
2차 예선은 2015년 2월 10일에 진행되었다.
팀 1 | 결과 | 팀 2 |
---|---|---|
알아흘리 | 2 – 1 (연장) | 알카디시야 |
나프트 테헤란 | 1 – 0 | 알자이시 |
부뇨드코르 | 2 – 1 | 알자지라 |
알와흐다 | 4 – 4 (연장) (승부차기 4 – 5) | 알사드 |
야다나본 | 1 – 1 (연장) (승부차기 5 – 6) | 워리어스 |
조호르 다룰 탁짐 | 2 – 1 (연장) | 벵갈루루 |
하노이 T&T | 4 – 0 | 페르십 반둥 |
촌부리 | 4 – 1 | 킷치 |
광저우 푸리 | 3 – 0 | 워리어스 |
방콕 글라스 | 3 – 0 | 조호르 다룰 탁짐 |
플레이오프 라운드는 2015년 2월 17일에 진행되었다.
5. 조별 리그
조별 리그 조 추첨은 2014년 12월 11일에 진행되었다. 32개 팀은 4개 팀씩 8개 조로 나뉘었다. 같은 협회 소속 팀은 같은 조에 편성될 수 없었다. 각 조는 홈 앤 어웨이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의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16강에 진출했다.
;타이브레이커
팀은 승점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에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 승점이 동률일 경우 다음 순서로 타이브레이커를 적용한다.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득점한 골 수;
# 해당 팀 간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득점한 원정 골 수;
# 기준 1~4를 적용한 후에도 팀의 순위가 같을 경우, 해당 팀 간의 경기에 한하여 기준 1~4를 재적용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이 절차로 결정이 나지 않을 경우, 기준 6~10을 적용한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득점한 골 수;
# 두 팀만 관련되어 있고 두 팀 모두 경기장에 있는 경우 승부차기;
# 조별 리그에서 받은 옐로 카드 및 레드 카드의 합산 점수가 적은 팀 (옐로 카드 1장당 1점, 옐로 카드 2장으로 인한 레드 카드 1장당 3점, 직접적인 레드 카드 1장당 3점, 옐로 카드 후 직접적인 레드 카드 1장당 4점);
# AFC 랭킹이 더 높은 회원 협회에 속한 팀.
=== A조 ===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A조에서는 카타르의 레크위야와 이란의 페르세폴리스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알나스르와 우즈베키스탄의 부뇨드코르는 각각 3,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2월 24일, 페르세폴리스는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레크위야를 3-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알나스르는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부뇨드코르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3월 3일, 부뇨드코르는 부뇨드코르 스타디움에서 페르세폴리스에 0-1로 패했다. 같은 날 레크위야는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에서 알나스르와 1-1로 비겼다.
3월 17일, 부뇨드코르는 부뇨드코르 스타디움에서 레크위야에 0-1로 패했다. 같은 날 알나스르는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페르세폴리스를 3-0으로 이겼다.
4월 8일, 페르세폴리스는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알나스르를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레크위야는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에서 부뇨드코르를 1-0으로 이겼다.
4월 22일, 레크위야는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에서 페르세폴리스를 3-0으로 꺾었다. 같은 날 부뇨드코르는 부뇨드코르 스타디움에서 알나스르에 0-1로 패했다.
5월 6일, 알나스르는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레크위야에 1-3으로 패했다. 같은 날 페르세폴리스는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부뇨드코르를 2-1로 이겼다.
=== B조 ===
B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의 알아인이 3승 3무로 조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이란의 나프트 테헤란은 2승 2무 2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우즈베키스탄의 파흐타코르는 1승 3무 2패,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샤바브는 1승 2무 3패를 기록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2015년 2월 24일, 파흐타코르는 나프트 테헤란과의 홈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알아인은 알샤바브와의 홈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3월 3일, 나프트 테헤란과 알아인은 1-1 무승부를 거두었고, 알샤바브와 파흐타코르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3월 18일, 파흐타코르는 알아인에게 홈에서 0-1로 패배했다. 같은 날 나프트 테헤란은 알샤바브를 홈으로 불러들여 2-1로 승리했다. 4월 7일, 알아인과 파흐타코르는 1-1로 비겼고, 알샤바브는 나프트 테헤란에게 0-3으로 완패했다.
4월 22일, 알샤바브는 알아인에게 홈에서 0-1로 패배하며 탈락이 확정되었다. 같은 날 나프트 테헤란과 파흐타코르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5월 6일, 파흐타코르는 알샤바브와의 홈 경기에서 0-2로 패배했고, 알아인은 나프트 테헤란을 3-0으로 꺾고 조 1위를 확정지었다.
=== C조 ===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C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힐랄이 4승 1무 1패(승점 13점)로 1위, 카타르의 알사드가 3승 1무 2패(승점 10점)로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이란의 풀라드는 1승 3무 2패(승점 6점)로 3위, 우즈베키스탄의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는 1승 1무 4패(승점 4점)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C조의 경기 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풀라드 | — | 1 – 0 | 0 – 0 | 0 – 0 |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1 – 1 | — | 0 – 2 | 5 – 0 |
알힐랄 | 2 – 0 | 3 – 1 | — | 2 – 1 |
알사드 | 1 – 0 | 6 – 2 | 1 – 0 | — |
- 2015년 2월 25일, 풀라드와 알사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알힐랄은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를 3-1로 꺾었다.
- 2015년 3월 4일,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와 풀라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알사드는 알힐랄을 1-0으로 이겼다.
- 2015년 3월 17일, 풀라드와 알힐랄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알사드는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를 6-2로 대파했다.
- 2015년 4월 8일,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는 알사드를 5-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알힐랄은 풀라드를 2-0으로 이겼다.
- 2015년 4월 21일,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는 알힐랄에 1-2로 패했다. 같은 날 알사드는 풀라드를 1-0으로 이겼다.
- 2015년 5월 5일, 풀라드는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를 상대로 승리했다. 같은 날 알힐랄은 알사드를 상대로 승리했다.
=== D조 ===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D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아흘리가 3승 3무로 조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의 알아흘리는 2승 2무 2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우즈베키스탄의 나사프 카르시는 2승 2무 2패로 알아흘리와 승점이 같았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조 3위로 탈락했다. 이란의 트락토르 사지는 1승 1무 4패로 조 최하위에 머물렀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알아흘리 | 6 | 3 | 3 | 0 | 11 | 7 | +4 | 12 |
알아흘리 | 6 | 2 | 2 | 2 | 8 | 8 | 0 | 8 |
나사프 카르시 | 6 | 2 | 2 | 2 | 5 | 5 | 0 | 8 |
트락토르 사지 | 6 | 1 | 1 | 4 | 7 | 11 | -4 | 4 |
알아흘리 | — | 3 – 2 | 0 – 0 | 3 – 3 |
---|---|---|---|---|
트락토르 사지 | 1 – 0 | — | 1 – 2 | 2 – 2 |
나사프 카르시 | 0 – 1 | 2 – 1 | — | 0 – 0 |
알아흘리 | 2 – 1 | 2 – 0 | 2 – 1 | — |
2월 25일, 나사프 카르시는 카르시 경기장에서 트락토르 사지를 2-1로 꺾었다. 같은 날 라세드 경기장에서는 알아흘리와 알아흘리가 3-3 무승부를 기록했다.
3월 4일, 트락토르 사지는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에서 알아흘리를 1-0으로 이겼다. 알아흘리는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에서 나사프 카르시를 2-1로 제압했다.
3월 18일, 알아흘리와 나사프 카르시는 라세드 경기장에서 0-0으로 비겼다. 알아흘리는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에서 트락토르 사지에 2-0 승리를 거두었다.
4월 7일, 트락토르 사지와 알아흘리는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나사프 카르시는 카르시 경기장에서 알아흘리에 0-1로 패했다.
4월 21일, 트락토르 사지는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에서 나사프 카르시에 1-2로 졌다. 알아흘리는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에서 알아흘리를 2-1로 꺾었다.
5월 5일, 알아흘리는 라세드 경기장에서 트락토르 사지를 3-2로 이겼다. 나사프 카르시는 카르시 경기장에서 알아흘리와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 E조 ===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E조에서는 일본의 가시와 레이솔과 대한민국의 전북 현대 모터스가 각각 승점 11점으로 1,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산둥 루넝은 승점 7점으로 3위, 베트남의 빈즈엉은 승점 4점으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년 2월 24일, 전북 현대 모터스는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가시와 레이솔과 0 – 0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빈즈엉은 빈즈엉 경기장에서 산둥 루넝에 2 – 3으로 패배했다.
3월 3일, 산둥 루넝은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에 1 – 4로 패배했다. 같은 날 가시와 레이솔은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에서 빈즈엉을 5 – 1로 대파했다.
3월 17일, 전북 현대 모터스는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빈즈엉을 3 – 0으로 이겼다. 같은 날 가시와 레이솔은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에서 산둥 루넝에 2 – 1 승리를 거두었다.
4월 8일, 빈즈엉은 빈즈엉 경기장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와 1 – 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산둥 루넝은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에서 가시와 레이솔과 4 – 4 무승부를 기록했다.
4월 22일, 가시와 레이솔은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를 3-2로 이겼다. 같은 날 산둥 루넝은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에서 빈즈엉에 3 – 1 승리를 거두었다.
5월 6일, 전북 현대 모터스는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산둥 루넝을 4 – 1로 대파했다. 같은 날 빈즈엉은 빈즈엉 경기장에서 가시와 레이솔을 1 – 0으로 이겼다.
=== F조 ===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F조에서는 감바 오사카(일본), 성남 FC(대한민국), 부리람 유나이티드(태국), 광저우 푸리(중국)가 경기를 펼쳤다. 각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총 6경기를 치렀다.
감바 오사카와 성남 FC는 승점 10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감바 오사카가 조 1위, 성남 FC가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부리람 유나이티드는 승점 10점을 얻었지만, 승자승에서 밀려 조 3위를 기록했다. 광저우 푸리는 승점 4점으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5년 2월 24일, 엑스포 70' 스타디움에서 열린 감바 오사카와 광저우 푸리의 경기에서는 광저우 푸리가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뉴아이모바일 스타디움에서 열린 부리람 유나이티드와 성남 FC의 경기에서는 부리람 유나이티드가 2-1로 승리했다.
3월 3일,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성남 FC와 감바 오사카의 경기에서는 성남 FC가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웨슈산 체육장에서 열린 광저우 푸리와 부리람 유나이티드의 경기에서는 부리람 유나이티드가 2-1로 승리했다.
3월 17일, 웨슈산 체육장에서 열린 광저우 푸리와 성남 FC의 경기에서는 성남 FC가 1-0으로 승리했다. 3월 18일, 엑스포 70' 스타디움에서 열린 감바 오사카와 부리람 유나이티드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4월 7일, 뉴아이모바일 스타디움에서 열린 부리람 유나이티드와 감바 오사카의 경기에서는 감바 오사카가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성남 FC와 광저우 푸리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4월 22일,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성남 FC와 부리람 유나이티드의 경기에서는 성남 FC가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웨슈산 체육장에서 열린 광저우 푸리와 감바 오사카의 경기에서는 감바 오사카가 5-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5월 6일, 엑스포 70' 스타디움에서 열린 감바 오사카와 성남 FC의 경기에서는 감바 오사카가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뉴아이모바일 스타디움에서 열린 부리람 유나이티드와 광저우 푸리의 경기에서는 부리람 유나이티드가 5-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 G조 ===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G조에서는 베이징 궈안(중화인민공화국)과 수원 삼성 블루윙즈(대한민국)가 각각 1,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브리즈번 로어(오스트레일리아)와 우라와 레즈(일본)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width=200|팀
!width=40 |경기
!width=25 |승
!width=25 |무
!width=25 |패
!width=30 |득
!width=30 |실
!width=30 |차
!width=40 |승점
|-style=background:#cfc
|align="left"| '''베이징 궈안'''
|6 ||3 ||2 ||1 ||6 ||3 ||+3 ||'''11'''
|-style=background:#cfc
|align="left"| '''수원 삼성 블루윙즈'''
|6 ||3 ||2 ||1 ||11 ||8 ||+3 ||'''11'''
5. 1. A조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A조에서는 카타르의 레크위야와 이란의 페르세폴리스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알나스르와 우즈베키스탄의 부뇨드코르는 각각 3,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2월 24일, 페르세폴리스는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레크위야를 3-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알나스르는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부뇨드코르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3월 3일, 부뇨드코르는 부뇨드코르 스타디움에서 페르세폴리스에 0-1로 패했다. 같은 날 레크위야는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에서 알나스르와 1-1로 비겼다.
3월 17일, 부뇨드코르는 부뇨드코르 스타디움에서 레크위야에 0-1로 패했다. 같은 날 알나스르는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페르세폴리스를 3-0으로 이겼다.
4월 8일, 페르세폴리스는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알나스르를 1-0으로 꺾었다. 같은 날 레크위야는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에서 부뇨드코르를 1-0으로 이겼다.
4월 22일, 레크위야는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에서 페르세폴리스를 3-0으로 꺾었다. 같은 날 부뇨드코르는 부뇨드코르 스타디움에서 알나스르에 0-1로 패했다.
5월 6일, 알나스르는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레크위야에 1-3으로 패했다. 같은 날 페르세폴리스는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부뇨드코르를 2-1로 이겼다.
5. 2. B조
B조에서는 아랍에미리트의 알아인이 3승 3무로 조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이란의 나프트 테헤란은 2승 2무 2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우즈베키스탄의 파흐타코르는 1승 3무 2패,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샤바브는 1승 2무 3패를 기록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2015년 2월 24일, 파흐타코르는 나프트 테헤란과의 홈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알아인은 알샤바브와의 홈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3월 3일, 나프트 테헤란과 알아인은 1-1 무승부를 거두었고, 알샤바브와 파흐타코르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3월 18일, 파흐타코르는 알아인에게 홈에서 0-1로 패배했다. 같은 날 나프트 테헤란은 알샤바브를 홈으로 불러들여 2-1로 승리했다. 4월 7일, 알아인과 파흐타코르는 1-1로 비겼고, 알샤바브는 나프트 테헤란에게 0-3으로 완패했다.
4월 22일, 알샤바브는 알아인에게 홈에서 0-1로 패배하며 탈락이 확정되었다. 같은 날 나프트 테헤란과 파흐타코르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5월 6일, 파흐타코르는 알샤바브와의 홈 경기에서 0-2로 패배했고, 알아인은 나프트 테헤란을 3-0으로 꺾고 조 1위를 확정지었다.
5. 3. C조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C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힐랄이 4승 1무 1패(승점 13점)로 1위, 카타르의 알사드가 3승 1무 2패(승점 10점)로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이란의 풀라드는 1승 3무 2패(승점 6점)로 3위, 우즈베키스탄의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는 1승 1무 4패(승점 4점)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C조의 경기 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풀라드 | — | 1 – 0 | 0 – 0 | 0 – 0 |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1 – 1 | — | 0 – 2 | 5 – 0 |
알힐랄 | 2 – 0 | 3 – 1 | — | 2 – 1 |
알사드 | 1 – 0 | 6 – 2 | 1 – 0 | — |
- 2015년 2월 25일, 풀라드와 알사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알힐랄은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를 3-1로 꺾었다.
- 2015년 3월 4일, 로코모티프 타슈켄트와 풀라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알사드는 알힐랄을 1-0으로 이겼다.
- 2015년 3월 17일, 풀라드와 알힐랄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알사드는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를 6-2로 대파했다.
- 2015년 4월 8일,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는 알사드를 5-0으로 꺾었다. 같은 날 알힐랄은 풀라드를 2-0으로 이겼다.
- 2015년 4월 21일,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는 알힐랄에 1-2로 패했다. 같은 날 알사드는 풀라드를 1-0으로 이겼다.
- 2015년 5월 5일, 풀라드는 로코모티프 타슈켄트를 상대로 승리했다. 같은 날 알힐랄은 알사드를 상대로 승리했다.
5. 4. D조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D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알아흘리가 3승 3무로 조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의 알아흘리는 2승 2무 2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우즈베키스탄의 나사프 카르시는 2승 2무 2패로 알아흘리와 승점이 같았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조 3위로 탈락했다. 이란의 트락토르 사지는 1승 1무 4패로 조 최하위에 머물렀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알아흘리 | 6 | 3 | 3 | 0 | 11 | 7 | +4 | 12 |
알아흘리 | 6 | 2 | 2 | 2 | 8 | 8 | 0 | 8 |
나사프 카르시 | 6 | 2 | 2 | 2 | 5 | 5 | 0 | 8 |
트락토르 사지 | 6 | 1 | 1 | 4 | 7 | 11 | -4 | 4 |
알아흘리 | — | 3 – 2 | 0 – 0 | 3 – 3 |
---|---|---|---|---|
트락토르 사지 | 1 – 0 | — | 1 – 2 | 2 – 2 |
나사프 카르시 | 0 – 1 | 2 – 1 | — | 0 – 0 |
알아흘리 | 2 – 1 | 2 – 0 | 2 – 1 | — |
2월 25일, 나사프 카르시는 카르시 경기장에서 트락토르 사지를 2-1로 꺾었다. 같은 날 라세드 경기장에서는 알아흘리와 알아흘리가 3-3 무승부를 기록했다.
3월 4일, 트락토르 사지는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에서 알아흘리를 1-0으로 이겼다. 알아흘리는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에서 나사프 카르시를 2-1로 제압했다.
3월 18일, 알아흘리와 나사프 카르시는 라세드 경기장에서 0-0으로 비겼다. 알아흘리는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에서 트락토르 사지에 2-0 승리를 거두었다.
4월 7일, 트락토르 사지와 알아흘리는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나사프 카르시는 카르시 경기장에서 알아흘리에 0-1로 패했다.
4월 21일, 트락토르 사지는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에서 나사프 카르시에 1-2로 졌다. 알아흘리는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에서 알아흘리를 2-1로 꺾었다.
5월 5일, 알아흘리는 라세드 경기장에서 트락토르 사지를 3-2로 이겼다. 나사프 카르시는 카르시 경기장에서 알아흘리와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5. 5. E조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E조에서는 일본의 가시와 레이솔과 대한민국의 전북 현대 모터스가 각각 승점 11점으로 1,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산둥 루넝은 승점 7점으로 3위, 베트남의 빈즈엉은 승점 4점으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년 2월 24일, 전북 현대 모터스는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가시와 레이솔과 0 – 0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빈즈엉은 빈즈엉 경기장에서 산둥 루넝에 2 – 3으로 패배했다.
3월 3일, 산둥 루넝은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에 1 – 4로 패배했다. 같은 날 가시와 레이솔은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에서 빈즈엉을 5 – 1로 대파했다.
3월 17일, 전북 현대 모터스는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빈즈엉을 3 – 0으로 이겼다. 같은 날 가시와 레이솔은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에서 산둥 루넝에 2 – 1 승리를 거두었다.
4월 8일, 빈즈엉은 빈즈엉 경기장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와 1 – 1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산둥 루넝은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에서 가시와 레이솔과 4 – 4 무승부를 기록했다.
4월 22일, 가시와 레이솔은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를 3-2로 이겼다. 같은 날 산둥 루넝은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에서 빈즈엉에 3 – 1 승리를 거두었다.
5월 6일, 전북 현대 모터스는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산둥 루넝을 4 – 1로 대파했다. 같은 날 빈즈엉은 빈즈엉 경기장에서 가시와 레이솔을 1 – 0으로 이겼다.
5. 6. F조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F조에서는 감바 오사카(일본), 성남 FC(대한민국), 부리람 유나이티드(태국), 광저우 푸리(중국)가 경기를 펼쳤다. 각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총 6경기를 치렀다.감바 오사카와 성남 FC는 승점 10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감바 오사카가 조 1위, 성남 FC가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부리람 유나이티드는 승점 10점을 얻었지만, 승자승에서 밀려 조 3위를 기록했다. 광저우 푸리는 승점 4점으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5년 2월 24일, 엑스포 70' 스타디움에서 열린 감바 오사카와 광저우 푸리의 경기에서는 광저우 푸리가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뉴아이모바일 스타디움에서 열린 부리람 유나이티드와 성남 FC의 경기에서는 부리람 유나이티드가 2-1로 승리했다.
3월 3일,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성남 FC와 감바 오사카의 경기에서는 성남 FC가 2-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웨슈산 체육장에서 열린 광저우 푸리와 부리람 유나이티드의 경기에서는 부리람 유나이티드가 2-1로 승리했다.
3월 17일, 웨슈산 체육장에서 열린 광저우 푸리와 성남 FC의 경기에서는 성남 FC가 1-0으로 승리했다. 3월 18일, 엑스포 70' 스타디움에서 열린 감바 오사카와 부리람 유나이티드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4월 7일, 뉴아이모바일 스타디움에서 열린 부리람 유나이티드와 감바 오사카의 경기에서는 감바 오사카가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성남 FC와 광저우 푸리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4월 22일,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성남 FC와 부리람 유나이티드의 경기에서는 성남 FC가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웨슈산 체육장에서 열린 광저우 푸리와 감바 오사카의 경기에서는 감바 오사카가 5-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5월 6일, 엑스포 70' 스타디움에서 열린 감바 오사카와 성남 FC의 경기에서는 감바 오사카가 2-1로 승리했다. 같은 날 뉴아이모바일 스타디움에서 열린 부리람 유나이티드와 광저우 푸리의 경기에서는 부리람 유나이티드가 5-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5. 7. G조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G조에서는 베이징 궈안(중화인민공화국)과 수원 삼성 블루윙즈(대한민국)가 각각 1,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브리즈번 로어(오스트레일리아)와 우라와 레즈(일본)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베이징 궈안 | 6 | 3 | 2 | 1 | 6 | 3 | +3 | 1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6 | 3 | 2 | 1 | 11 | 8 | +3 | 11 |
브리즈번 로어 | 6 | 2 | 1 | 3 | 7 | 9 | -2 | 7 |
우라와 레즈 | 6 | 1 | 1 | 4 | 5 | 9 | -4 | 4 |
2월 25일, 브리즈번 로어는 베이징 궈안과의 홈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 같은 날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우라와 레즈와의 홈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3월 4일, 베이징 궈안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홈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우라와 레즈는 브리즈번 로어와의 홈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
3월 17일, 베이징 궈안은 우라와 레즈와의 홈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3월 18일, 브리즈번 로어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홈 경기에서 3-3 무승부를 기록했다.
4월 8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브리즈번 로어와의 홈 경기에서 3-1로 승리했다. 같은 날 우라와 레즈는 베이징 궈안과의 홈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4월 21일, 우라와 레즈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홈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 같은 날 베이징 궈안은 브리즈번 로어와의 홈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
5월 5일, 브리즈번 로어는 우라와 레즈와의 홈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 같은 날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베이징 궈안과의 홈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5. 8. H조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H조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광저우 헝다가 3승 1무 2패(승점 10점)로 조 1위, 대한민국의 FC 서울이 2승 3무 1패(승점 9점)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웨스턴 시드니는 2승 2무 2패(승점 8점), 일본의 가시마 앤틀러스는 2승 4패(승점 6점)를 기록하여 탈락했다.
2월 25일, 가시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가시마 앤틀러스와 웨스턴 시드니의 경기에서는 원정팀 웨스턴 시드니가 3-1로 승리했다. 같은 날 텐허 스타디움에서 열린 광저우 헝다와 FC 서울의 경기에서는 홈팀 광저우 헝다가 골라르트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3월 4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FC 서울과 가시마 앤틀러스의 경기에서는 김진규의 골로 FC 서울이 1-0 승리를 거두었다. 패러매타 스타디움에서 열린 웨스턴 시드니와 광저우 헝다의 경기에서는 원정팀 광저우 헝다가 골라르트의 2골에 힘입어 3-2로 승리했다.
3월 18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FC 서울과 웨스턴 시드니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텐허 스타디움에서 열린 광저우 헝다와 가시마 앤틀러스의 경기에서는 홈팀 광저우 헝다가 난타전 끝에 4-3으로 승리했다.
4월 7일, 패러매타 스타디움에서 열린 웨스턴 시드니와 FC 서울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가시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가시마 앤틀러스와 광저우 헝다의 경기에서는 홈팀 가시마가 2-1로 승리했다.
4월 21일, 패러매타 스타디움에서 열린 웨스턴 시드니와 가시마 앤틀러스의 경기에서는 원정팀 가시마가 2-1로 승리했다.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FC 서울과 광저우 헝다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5월 5일, 텐허 스타디움에서 열린 광저우 헝다와 웨스턴 시드니의 경기에서는 원정팀 웨스턴 시드니가 2-0으로 승리했다. 가시마 스타디움에서 열린 가시마 앤틀러스와 FC 서울의 경기에서는 원정팀 FC 서울이 3-2로 승리했다.
6. 결선 토너먼트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
16개 팀이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결승전까지 두 지역으로 나뉘어 경기를 진행했다. 각 경기는 홈 앤 어웨이 방식의 2차전으로 진행되었다. 필요한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 연장전 (연장전에는 원정 다득점 규칙 적용 안 됨) 및 승부차기를 사용하여 승자를 결정했다.
=== 16강전 ===
16강전은 조별 예선의 결과에 따라 각 조 1위와 다른 조 2위가 맞붙으며, 1차전은 각 조 2위의 홈에서, 2차전은 각 조 1위의 홈에서 치러졌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서아시아 | ||||
알사드 | 3 – 4 | 레크위야 | 1 – 2 | 2 – 2 |
페르세폴리스 | 1 – 3 | 알힐랄 | 1 – 0 | 0 – 3 |
알아흘리 | 3 – 3 (a) | 알아인 | 0 – 0 | 3 – 3 |
나프트 테헤란 | 2 – 2 (a) | 알아흘리 | 1 – 0 | 1 – 2 |
동아시아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4 – 4 (a) | 가시와 레이솔 | 2 – 3 | 2 – 1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1 | 베이징 궈안 | 1 – 1 | 1 – 0 |
FC 서울 | 3 – 6 | 감바 오사카 | 1 – 3 | 2 – 3 |
성남 FC | 2 – 3 | 광저우 헝다 | 2 – 1 | 0 – 2 |
2015년 5월 19일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알사드와 레크위야의 1차전 경기는 소리아와 므사크니의 득점에 힘입어 레크위야가 2-1로 승리하였다. 5월 26일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양 팀이 난타전 끝에 2-2 무승부를 기록, 레크위야가 합계 4-3으로 8강에 진출하였다.
페르세폴리스는 5월 19일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열린 알힐랄과의 1차전에서 디가오의 자책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5월 26일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알살렘, 알샬후브, 알도사리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0-3으로 패배, 합계 1-3으로 탈락하였다.
알아흘리와 알아인은 5월 20일 라세드 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득점 없이 비겼다. 5월 27일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잔의 멀티골과 에이사의 골, 카미스와 칼릴의 멀티골로 3-3 무승부를 기록, 알아흘리가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8강에 진출하였다.
나프트 테헤란은 5월 20일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레자에이의 결승골로 알아흘리를 1-0으로 꺾었다. 5월 27일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알소마에게 멀티골을 허용했지만, 파도바니의 만회골에 힘입어 1-2로 패배, 합계 2-2를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8강에 진출하였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5월 19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가시와 레이솔과의 1차전에서 염기훈과 정대세가 골을 넣었지만, 바라다와 레안드루에게 멀티골을 허용하며 2-3으로 패했다. 5월 26일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정대세와 구자룡의 득점으로 고바야시가 한 골을 넣은 가시와 레이솔을 2-1로 꺾고, 합계 4-4를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8강에 진출하였다.
전북 현대 모터스는 5월 19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김기희의 선제골과 바타야의 페널티킥 골로 베이징 궈안과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5월 26일 베이징 공인체육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에두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합계 2-1로 8강에 진출하였다.
FC 서울은 5월 20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감바 오사카와의 1차전에서 윤주태가 만회골을 넣었지만, 우사미에게 멀티골, 요네쿠라에게 골을 허용하며 1-3으로 패했다. 5월 27일 엑스포 70'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도 윤주태가 멀티골을 기록했지만, 파트리크, 구라타, 린스에게 골을 내주며 2-3으로 패배, 합계 3-6으로 탈락하였다.
성남 FC는 5월 20일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조르지뉴와 김두현의 페널티킥 골로 황보원이 한 골을 넣은 광저우 헝다를 2-1로 꺾었다. 그러나 5월 27일 텐허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골라르트에게 멀티골을 허용하며 0-2로 패배, 합계 2-3으로 탈락하였다.
=== 8강전 ===
2015년 6월 18일에 8강전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 서로 다른 권역의 팀들은 같은 대진에 편성될 수 없었으며, 시드 배정이나 국가 보호는 없었기에 같은 협회 소속의 팀들도 같은 대진에 편성될 수 있었다.[14]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서아시아 | ||||
알힐랄 | 6 – 3 | 레크위야 | 4 – 1 | 2 – 2 |
나프트 테헤란 | 1 – 3 | 알아흘리 | 0 – 1 | 1 – 2 |
동아시아 | ||||
가시와 레이솔 | 2 – 4 | 광저우 헝다 | 1 – 3 | 1 – 1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3 | 감바 오사카 | 0 – 0 | 2 – 3 |
- 알힐랄은 2015년 8월 25일 20:50 (UTC+3)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리야드)에서 레크위야를 상대로 1차전을 치러 아이우통(11'), 알카에비(34'), 카를루스 에두아르두(36', 86')의 득점으로 므사크니(17')가 득점한 레크위야에 4-1 승리를 거두었다. 관중 수는 1,190명이었다. 9월 15일 19:00 (UTC+3)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도하)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카를루스 에두아르두(26'), 지강(87')이 득점하고, 레크위야는 이스마일 모하마드(45+2'), 치코(72')가 득점하여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관중 수는 5,439명이었다.
- 나프트 테헤란은 2015년 8월 25일 19:00 (UTC+4:30) 아자디 스타디움(테헤란)에서 알아흘리를 상대로 1차전을 치렀으나, 리마(62')에게 실점하여 0-1로 패배했다. 관중 수는 23,300명이었다. 9월 16일 20:25 (UTC+4) 라세드 경기장(두바이)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알아흘리의 리마(26'), 칼릴(47')에게 실점하고, 아미리(50')가 득점하여 1-2로 패배했다. 관중 수는 9,353명이었다.
- 가시와 레이솔은 2015년 8월 26일 19:00 (UTC+9)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가시와 시)에서 광저우 헝다를 상대로 1차전을 치러 구도(89')가 득점했지만, 스즈키(5', 자책골), 파울리뉴(40'), 가오린(58')에게 실점하며 1-3으로 패배했다. 관중 수는 14,030명이었다. 9월 15일 20:00 (UTC+8) 텐허 스타디움(광저우 시)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크리스치아누(12')가 득점하고, 광저우는 황보원(30')이 득점하여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관중 수는 48,643명이었다.
- 전북 현대 모터스는 2015년 8월 26일 19:00 (UTC+9) 전주월드컵경기장(전주시)에서 감바 오사카를 상대로 1차전을 치렀으나, 득점 없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관중 수는 23,633명이었다. 9월 16일 19:00 (UTC+9) 엑스포 70' 스타디움(스이타 시)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레오나르두(13', 페널티킥), 베라(89')가 득점했지만, 감바 오사카의 파트리크(14'), 구라타(76'), 요네쿠라(90+3')에게 실점하여 2-3으로 패배했다. 관중 수는 9,284명이었다.
=== 준결승전 ===
서아시아에서는 알힐랄(사우디아라비아)과 알아흘리(아랍에미리트)가 맞붙었다. 1차전은 2015년 9월 29일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리야드)에서 열렸으며, 아이우통(알힐랄)과 리마(알아흘리)가 각각 득점하여 1 – 1 무승부로 끝났다. 2차전은 10월 20일 라세드 경기장(두바이)에서 열렸고, 알아흘리가 3 – 2로 승리하며 합계 4 – 3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동아시아에서는 광저우 헝다(중국)와 감바 오사카(일본)가 대결했다. 1차전은 9월 30일 텐허 스타디움(광저우)에서 열려 황보원과 정즈가 득점한 광저우 헝다가 2 – 1로 승리했다. 펑샤오팅의 자책골로 감바 오사카가 1점을 얻었다. 2차전은 10월 21일 만박기념경기장(스이타)에서 열렸으며, 양 팀 모두 득점 없이 0 – 0 무승부를 기록, 합계 2 – 1로 광저우 헝다가 결승에 진출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알힐랄 | 3 – 4 | 알아흘리 | 1 – 1 | 2 – 3 |
광저우 헝다 | 2 – 1 | 감바 오사카 | 2 – 1 | 0 – 0 |
=== 결승전 ===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2015년 11월 7일과 11월 21일에 1, 2차전으로 나뉘어 열렸다.[14] 1차전은 아랍에미리트의 알아흘리의 홈구장인 두바이의 라세드 경기장에서, 2차전은 중국 광저우 헝다의 홈구장인 광저우의 텐허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알아흘리 | 0 – 1 | 광저우 헝다 | 0 – 0 | 0 – 1 |
1차전은 9,480명의 관중이 모인 가운데 0-0 무승부로 끝났으며, 대한민국의 김종혁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2차전에서는 광저우 헝다의 이우케종이 54분에 득점하여 1-0으로 승리했으며, 42,499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고, 우즈베키스탄의 랍샨 이르마토프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6. 1. 16강전
16강전은 조별 예선의 결과에 따라 각 조 1위와 다른 조 2위가 맞붙으며, 1차전은 각 조 2위의 홈에서, 2차전은 각 조 1위의 홈에서 치러졌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서아시아 | ||||
알사드 | 3 – 4 | 레크위야 | 1 – 2 | 2 – 2 |
페르세폴리스 | 1 – 3 | 알힐랄 | 1 – 0 | 0 – 3 |
알아흘리 | 3 – 3 (a) | 알아인 | 0 – 0 | 3 – 3 |
나프트 테헤란 | 2 – 2 (a) | 알아흘리 | 1 – 0 | 1 – 2 |
동아시아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4 – 4 (a) | 가시와 레이솔 | 2 – 3 | 2 – 1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1 | 베이징 궈안 | 1 – 1 | 1 – 0 |
FC 서울 | 3 – 6 | 감바 오사카 | 1 – 3 | 2 – 3 |
성남 FC | 2 – 3 | 광저우 헝다 | 2 – 1 | 0 – 2 |
2015년 5월 19일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알사드와 레크위야의 1차전 경기는 소리아와 므사크니의 득점에 힘입어 레크위야가 2-1로 승리하였다. 5월 26일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양 팀이 난타전 끝에 2-2 무승부를 기록, 레크위야가 합계 4-3으로 8강에 진출하였다.
페르세폴리스는 5월 19일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열린 알힐랄과의 1차전에서 디가오의 자책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5월 26일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알살렘, 알샬후브, 알도사리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0-3으로 패배, 합계 1-3으로 탈락하였다.
알아흘리와 알아인은 5월 20일 라세드 경기장에서 열린 1차전에서 득점 없이 비겼다. 5월 27일 하자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잔의 멀티골과 에이사의 골, 카미스와 칼릴의 멀티골로 3-3 무승부를 기록, 알아흘리가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8강에 진출하였다.
나프트 테헤란은 5월 20일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레자에이의 결승골로 알아흘리를 1-0으로 꺾었다. 5월 27일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알소마에게 멀티골을 허용했지만, 파도바니의 만회골에 힘입어 1-2로 패배, 합계 2-2를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8강에 진출하였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5월 19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가시와 레이솔과의 1차전에서 염기훈과 정대세가 골을 넣었지만, 바라다와 레안드루에게 멀티골을 허용하며 2-3으로 패했다. 5월 26일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정대세와 구자룡의 득점으로 고바야시가 한 골을 넣은 가시와 레이솔을 2-1로 꺾고, 합계 4-4를 기록,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8강에 진출하였다.
전북 현대 모터스는 5월 19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김기희의 선제골과 바타야의 페널티킥 골로 베이징 궈안과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5월 26일 베이징 공인체육장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에두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합계 2-1로 8강에 진출하였다.
FC 서울은 5월 20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감바 오사카와의 1차전에서 윤주태가 만회골을 넣었지만, 우사미에게 멀티골, 요네쿠라에게 골을 허용하며 1-3으로 패했다. 5월 27일 엑스포 70'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도 윤주태가 멀티골을 기록했지만, 파트리크, 구라타, 린스에게 골을 내주며 2-3으로 패배, 합계 3-6으로 탈락하였다.
성남 FC는 5월 20일 탄천종합운동장에서 조르지뉴와 김두현의 페널티킥 골로 황보원이 한 골을 넣은 광저우 헝다를 2-1로 꺾었다. 그러나 5월 27일 텐허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골라르트에게 멀티골을 허용하며 0-2로 패배, 합계 2-3으로 탈락하였다.
6. 2. 8강전
2015년 6월 18일에 8강전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 서로 다른 권역의 팀들은 같은 대진에 편성될 수 없었으며, 시드 배정이나 국가 보호는 없었기에 같은 협회 소속의 팀들도 같은 대진에 편성될 수 있었다.[14]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서아시아 | ||||
알힐랄 | 6 – 3 | 레크위야 | 4 – 1 | 2 – 2 |
나프트 테헤란 | 1 – 3 | 알아흘리 | 0 – 1 | 1 – 2 |
동아시아 | ||||
가시와 레이솔 | 2 – 4 | 광저우 헝다 | 1 – 3 | 1 – 1 |
전북 현대 모터스 | 2 – 3 | 감바 오사카 | 0 – 0 | 2 – 3 |
- 알힐랄은 2015년 8월 25일 20:50 (UTC+3)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리야드)에서 레크위야를 상대로 1차전을 치러 아이우통(11'), 알카에비(34'), 카를루스 에두아르두(36', 86')의 득점으로 므사크니(17')가 득점한 레크위야에 4-1 승리를 거두었다. 관중 수는 1,190명이었다. 9월 15일 19:00 (UTC+3)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도하)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카를루스 에두아르두(26'), 지강(87')이 득점하고, 레크위야는 이스마일 모하마드(45+2'), 치코(72')가 득점하여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관중 수는 5,439명이었다.
- 나프트 테헤란은 2015년 8월 25일 19:00 (UTC+4:30) 아자디 스타디움(테헤란)에서 알아흘리를 상대로 1차전을 치렀으나, 리마(62')에게 실점하여 0-1로 패배했다. 관중 수는 23,300명이었다. 9월 16일 20:25 (UTC+4) 라세드 경기장(두바이)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알아흘리의 리마(26'), 칼릴(47')에게 실점하고, 아미리(50')가 득점하여 1-2로 패배했다. 관중 수는 9,353명이었다.
- 가시와 레이솔은 2015년 8월 26일 19:00 (UTC+9) 히타치 가시와 축구장(가시와 시)에서 광저우 헝다를 상대로 1차전을 치러 구도(89')가 득점했지만, 스즈키(5', 자책골), 파울리뉴(40'), 가오린(58')에게 실점하며 1-3으로 패배했다. 관중 수는 14,030명이었다. 9월 15일 20:00 (UTC+8) 텐허 스타디움(광저우 시)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크리스치아누(12')가 득점하고, 광저우는 황보원(30')이 득점하여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관중 수는 48,643명이었다.
- 전북 현대 모터스는 2015년 8월 26일 19:00 (UTC+9) 전주월드컵경기장(전주시)에서 감바 오사카를 상대로 1차전을 치렀으나, 득점 없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관중 수는 23,633명이었다. 9월 16일 19:00 (UTC+9) 엑스포 70' 스타디움(스이타 시)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레오나르두(13', 페널티킥), 베라(89')가 득점했지만, 감바 오사카의 파트리크(14'), 구라타(76'), 요네쿠라(90+3')에게 실점하여 2-3으로 패배했다. 관중 수는 9,284명이었다.
6. 3. 준결승전
서아시아에서는 알힐랄(사우디아라비아)과 알아흘리(아랍에미리트)가 맞붙었다. 1차전은 2015년 9월 29일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리야드)에서 열렸으며, 아이우통(알힐랄)과 리마(알아흘리)가 각각 득점하여 1 – 1 무승부로 끝났다. 2차전은 10월 20일 라세드 경기장(두바이)에서 열렸고, 알아흘리가 3 – 2로 승리하며 합계 4 – 3으로 결승에 진출했다.동아시아에서는 광저우 헝다(중국)와 감바 오사카(일본)가 대결했다. 1차전은 9월 30일 텐허 스타디움(광저우)에서 열려 황보원과 정즈가 득점한 광저우 헝다가 2 – 1로 승리했다. 펑샤오팅의 자책골로 감바 오사카가 1점을 얻었다. 2차전은 10월 21일 만박기념경기장(스이타)에서 열렸으며, 양 팀 모두 득점 없이 0 – 0 무승부를 기록, 합계 2 – 1로 광저우 헝다가 결승에 진출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알힐랄 | 3 – 4 | 알아흘리 | 1 – 1 | 2 – 3 |
광저우 헝다 | 2 – 1 | 감바 오사카 | 2 – 1 | 0 – 0 |
6. 4. 결승전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2015년 11월 7일과 11월 21일에 1, 2차전으로 나뉘어 열렸다.[14] 1차전은 아랍에미리트의 알아흘리의 홈구장인 두바이의 라세드 경기장에서, 2차전은 중국 광저우 헝다의 홈구장인 광저우의 텐허 스타디움에서 열렸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알아흘리 | 0 – 1 | 광저우 헝다 | 0 – 0 | 0 – 1 |
1차전은 9,480명의 관중이 모인 가운데 0-0 무승부로 끝났으며, 대한민국의 김종혁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2차전에서는 광저우 헝다의 이우케종이 54분에 득점하여 1-0으로 승리했으며, 42,499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고, 우즈베키스탄의 랍샨 이르마토프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7. 우승
2번째 우승